Surprise Me!

[그래픽뉴스] 1월 산불 위험

2022-01-06 0 Dailymotion

[그래픽뉴스] 1월 산불 위험<br /><br />추운 만큼 건조한 날씨가 계속되고 있죠.<br /><br />이럴 때 조심해야 하는 게 바로 화재 위험인데요.<br /><br />최근 들어 1월에 산불이 발생할 위험,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오늘의 그래픽 뉴스, 입니다.<br /><br />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지난 60년간의 기상관측 자료를 활용해 20년 단위로 우리나라 산불 기상지수 변화를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산불 기상지수는 습도, 온도 등의 날씨를 활용해 산불 위험을 점수화한 건데요.<br /><br />빨간색으로 표시된 그래프가 2000년대 이후 20년 간의 지수로, 1월의 산불 기상지수가 2~4 정도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이는 산불 발생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30∼50% 높아졌다는 의미입니다.<br /><br />실제로 1년 중 1월에 산불이 발생한 비율은 점점 높아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1990년대에는 전체 산불의 5.7%가 1월에 발생했지만 2010년대에는 7.4%로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또 지난해만 따져보면 1월 산불의 비율이 무려 13%에 달했는데요.<br /><br />올해도 조심 또 조심해야겠죠.<br /><br />기상, 기후인자를 활용해 올해 1월의 산불 발생위험을 예측한 결과, 과거 39년 분석 자료 중 10번째로 위험성이 높게 나타났다는 게 국립산림과학원의 설명입니다.<br /><br />지구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해수면이 높아진 데다, 상대습도가 낮은 상황이라는 게 주요 위험 요인으로 꼽히는데요.<br /><br />'온도' 역시 산불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온도가 1.5도 증가하면 산불 기상지수는 8.6% 상승하고, 2도 올라가면 13.5% 상승한다는 겁니다.<br /><br />기후변화로 한겨울에도 대형 산불이 발생하는 상황이 다른 먼 나라의 얘기가 아닐 수 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우리나라는 매년 2~5월과 11~12월에 산불 조심 기간을 지정해 입산 통제 등을 하고 있는데, 이번 분석 결과에 따라 그 기간이 더 길어질 수도 있을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